03교시 수업내용-- 컬럼 레벨 제약 조건 지정-- [1] Not null 제약 조건을 설정하지 않고 테이블 생성drop table emp01 purge; create table emp01( empno number(4), ename varchar2(20), job varchar2(20), deptno number(2)); --[null 데이터 입력 연습] 생성한 테이블의 순서와 일치하게 만들어줘야 한다insert into emp01 values(null, null, 'salesman', 40);select * from emp01; 04교시 수업내용-- 특정컬럼 null 값 입력은 안돼(오작성 방지) 제약조건 설정-- [2] not null 제약 조건을 설정하고 테이블 생성 방법-- 최소한 사원번호와 이름..
-- * 오라클 : 사용자(User) 권한(Role)-- * 데이터 제어어 DCL (Data Control Language) 권한의 역할과 종류 1) 권한은 사용자가 특정 테이블을 접근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해당 테이블에 SQL(SELECT / INSERT / UPDATE / DELETE) 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을 두는 것을 말한다 2) 데이터베이스 보안을 위한 권한은 시스템 권한(System Privileges)과 객체 권한(Object Privileges)으로 나누어 진다 3) 시스템 권한은 사용자이 생성과 제거 DB 접근 및 각종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 등 주로 DBA에 의해 부여되면 그 권한의 수가 80가지가 넘기에 대표적인 시스템 권한만 정리했다 시스템 권한CREATE USER : 새롭..
3) non-eqie join (비등가조인) -- 2개 이상의 테이블에 사용이 가능하다select * from tab;select * from emp;select * from salgrade; -- 이것만 먼저 실행해 본다 // 3개 컬럼 5개 레코드가 담겨져 있다 // 급여에 대한 등급 정보 select ename, sal, grade from emp, salgradewhere sal >= losal and sal = losal and sal
0416 - 0 - eXERD 사용법
DICR(Data Integrity Constraint Rule) 데이터 무결성 제약 조건테이블에 부적절한 자료(테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테이블을 생성할 때 각 컬럼에 대하여 정의하는 여러가지 규칙을 의미한다 컬럼 레벨 제약 조건 지정종류1) Not null/null : null을 허용할 지 아니면 반드시 데이터를 입력받게 할 건지의 조건2) Unique : 지정된 컬럼에 중복되지 않고 유일한 값만 저장되는 조건3) Primary key(기본키) : unique + not null4) Check : 특정한 값만 저장되는 필드 조건5) Default : 기본값으로 특정 값이 저장되도록 설정하는 조건6) Foreign key(외래키) : 다른 테이블의 컬럼에 들어있는 값만 저장을 허용하는 조..
-- *단원 11_join(조인)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 나뉘어져 있는 데이터를 한 번의 sql문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이름이 scott인 사원의 부서명 출력) 종류1) cross join : 2개 이상의 테이블이 조인될 때 where절에 의해 공통되는 컬럼에 의한 결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2) equi join : 조인 대상이 되는 두 테이블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컬럼의 값이 일치되는 행을 연결하여 결과를 생성하는 방법3) non-equi join : 동일 컬럼이 없이 다른 조건을 사용하여 join. 조인 조건에 특정 범위 내에 있는지를 조사 하기 위해서 조건절에 조인 조건을 = 연산자 이외의 비교 연산자를 이용4) self join : 하나의 테이블 내에서, 자기 자신과 조인..
-- * 오라클 인덱스(index) -- [1] 인덱스 정보 조회select index_name, table_name, column_namefrom user_ind_columnswhere table_name in('EMP', 'DEPT'); -- [2] 조회 속도 비교하기-- 사원 테이블 복사하기drop table emp01 purge; create table emp01 -- 테이블 생성하면서 복사하기asselect *from emp; select index_name, table_name, column_namefrom user_ind_columnswhere table_name in('EMP', 'EMP01');-- 주의) 데이터 복사 시에 테이블 구조와 내용만 복사될 뿐이지 제약 조건은 복사되지 않는다 ..
-- * 오라클 뷰(View) -- [1] 뷰의 데스트용 테이블 생성-- (1) DEPT 테이블을 복사한 DEPT_COPY 테이블을 생성create table dept_copyasselect * from dep; -- dept 모든 테이터를 dept_copy 테이블에 복사 -- (2) EMP 테이블을 복한 EMP_COPY 테이블을 생성create table emp_copyasselect * from emp; -- [2] 뷰(View) 정의하기-- 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create view로 시작한다-- as 다음은 마치 서브쿼리문과 유사하다-- 서브쿼리는 우리가 지금까지 사용하였던 select 문을 기술하면 된다 -- ex) 만일 30번 부서에 소속된 사원들의 사번과 이름과 부서번호를 자주 검색한다고 ..
2020040902 Transaction (트랜잭션) : 1) 거래, 매매 2)처리(과정)참조 https://coding-factory.tistory.com/226 강사 : 은행가서 현금 인출하는 장면을 상상해라통장의 잔액에서 돈을 인출해주면 통장잔고가 변해야하고,현금인출기 뚜껑인 안열린 경우, 개념 : 하나의 동작을 실행 했을때 현금인출 과정부터 현금인출 완료까지 과정에서 DB에 저장해줘동작 중간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그 동작 시점으로 가서 우 emd 캡쳐화면엔터엔터후 캠쳐화면 -- * 트랜잭션 -- [1] 테이블 생성create table dept01asselect * from dept; -- dept에서 복사해서 사용하겠다 cmd 붙여넣기엔터성공 메세지 -- [2] command 창에서 실습 진행 ..
0416 - 02 - exERD 논리적/물리적 모델링 1 exe 실행 파일을 우클릭 관리자로 실행 2 검색 exerd 홈페이지 3. 다운로드 평가판 다운로드
package exam02; public class OutputPri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100); // comment(주석문), 정수 출력도 가능하다System.out.println("Test"); // 문자 출력은 " " 큰 따옴표 안에 넣어 출력한다System.out.println(3.14); // 실수 출력 // 사칙 연산 결과 출력System.out.println(100 + 35);System.out.println(100 - 35);System.out.println(100 * 35);System.out.println(100 / 35); System.out.println("100+35"); // " " 큰..
테이터베이스 설계란?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맞는 형식으로 데이터로 변환하여 특정 DBMS로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 1. 요구사항분석 (아이디어 스케치 단계로 볼수 있다)시스템 개발 목표사용자의 의도 파악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2. 개념적 설계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기 쉬운 형식으로 간단히 기술하는 단계이다 3. 논리적 설계오라클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테이블이라는 형태로 구체화 해주는 것을 말한다)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관계형 모델을 근거로 엔티티 관계 모델링(E-R, Entity-Relationship Modeling)을 합니다. 엔티티 관계 몰델링은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