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17_01_System.out.println() 및 사칙연산

package exam02;


public class OutputPri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100); // comment(주석문), 정수 출력도 가능하다

System.out.println("Test"); // 문자 출력은 " " 큰 따옴표 안에 넣어 출력한다

System.out.println(3.14); // 실수 출력


// 사칙 연산 결과 출력

System.out.println(100 + 35);

System.out.println(100 - 35);

System.out.println(100 * 35);

System.out.println(100 / 35);


System.out.println("100+35"); // " " 큰 따옴표 안에 있으면 문자로 인식하여 연산을 하지 않는다

System.out.println("Hello, " + "Java!!!"); // "문자열" + "문자열" 결합에도 + 연산자 사용이 가능하다

//System.out.println("Hello, " - "Java!!!"); error 이클립스에서는 코드 작성과 동시에 java에서 컴파일 진행으로 실시간 코드 error 발생을 사실을 지원한다  

//System.out.println("Hello, " * "Java!!!"); error

//System.out.println("Hello, " / "Java!!!"); error



System.out.println(3.14 + "는 실수입니다."); 

// 자바에서는 숫자 + "문자열" 연산은 "3.14"를 숫자가 아닌 문자열로 변환 인식해서 문자열 + 문자열로 인식하게 처리한다.

System.out.println(100 * 35);

System.out.println("100 * 35 = " + (100 * 35));

// 연산자 우선 순위에 의해서 (100 * 35) = 3500 계산 후 + 를 연산 시 문자열 + 숫자는 문자열 + 문자열이 되므로 "100 * 35 =" + "3500" 됩니다.






}


}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